홍보_109.jpg

1980년대 이후, 특히 1989년 평양에서 세계청년학생축전이 개최된 이후 북한주민들의 생활 속에는 서구식 문화가 침투되기 시작하였고,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층에서 이 같은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직도 북한에서는 공식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사회주의 문화가 지배적이긴 하지만 북한청소년 문화 속에는 서구식 개인주의 문화도 차츰 번져가고 있습니다.

 

북한은 원칙적으로 외국 문화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외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자본주의 문화 침투의 원인이 된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중국이나 구소련(지금의 러시아)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의 문화는 일부 들여오기도 합니다.

 

1990년대 초에는 청바지와 바지치마, 쫑대바지(쫄바지), 외국어가 새겨진 티셔츠 등을 입는 경우가 종종 관찰되었는데, 1993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착용을 금지시킨 이후 사라졌다고 합니다.

 

청바지는 미제국주의, 바지치마는 일제가 만든 전형적인 자본주의의 상징이라고 금지하고 있고, 실제 생활에서는 대부분 활동하기 간편한 바지차림을 주로 하며 한복은 특별한 행사 때 입습니다.

 

또한, 평양 등 대도시에서는 장발 등 특이한 머리 모양을 하는 청소년들을 간간이 목격할 수 있으며, 중국의 보따리상이나 재일교포 등을 통해 유입된 우리나라나 서구의 가요 테이프, CD, 비디오 등도 음성적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청소년 사이에서 통기타바람이 본격적으로 불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청소년들 사이의 통기타 열풍은 대중가요 가사에도 나타나고 있기도 합니다.

 

서구의 문화가 북한 청소년들 사이에 침투하고 있는 것에 대해 북한 당국은 이를 얼빠진 사고방식또는 썩어빠진 부르조아적 유행이라고 비판하면서 사상 깜빠니아(캠페인)’ 를 하 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통제만으로는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규제를 일부 풀어 양성화하기도 합니다.

조회 수 :
5537
등록일 :
2016.02.23
16:38:28 (*.129.188.143)
엮인글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990&act=trackback&key=8db
게시글 주소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9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6 48. [학교생활] 학교에서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짜여져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0
25 53. [일상생활] 북한에서는 왜 단체생활을 강조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9
24 41. [학교생활] 북한에도 어린이회나 학생회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9
23 37. [학교생활] 쉬는 시간에는 무엇을 하며 보내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9
22 6. [교육제도] 방학은 언제하며 방학 동안에는 무엇을 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8
21 39. [학교생활] 수업분위기는 어떤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7
20 19. [교육내용] 북한에서는 시험을 어떻게 보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7
19 42. [학교생활] 담임 선생님은 어떤 일을 하시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6
18 32. [학교생활] 북한 학생들은 어떻게 상, 벌을 받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6
17 21. [교육내용] 북한 청소년들도 남한사회나 남한 친구들을 이해하는 과목을 배우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6
16 7. [교육제도] 북한에서는 영재교육을 어떻게 할까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4
15 44. [학교생활] 학교 연중행사는 무엇 무엇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3
14 20. [교육내용] 북한 학생들도 컴퓨터를 배우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3
13 56. [일상생활] 북한에도 청소년 심신 수련 시설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2
12 54. [일상생활] 북한에는 어떤 청소년 단체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1
11 14. [교육제도] 학교는 몇 개나 있으며 한 학급당 학생 수는 몇 명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0
10 8. [교육제도] 북한에도 명문 학교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0
9 17. [교육내용] 북한에도 체력장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88
8 43. [학교생활] 학교에는 어떤 선생님들이 계신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83
7 55.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대중 연예인은 누구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77

list_1_22.jpg

chulpan.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