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_109.jpg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엄부자모(嚴父慈母)란 말처럼 아버지는 엄하시고, 어머니는 자애로우신 편입니다. 물론 요즘은 오히려 어머니가 더 엄하신 경우가 많고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도 많이 수평적으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겠지요.

 

북한의 부모 자식 간의 관계는 어떨까요? 북한에는 아직도 가부장적인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어서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 특히 아버지와의 대화가 단절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아버지들은 가정에서 거의 절대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자상한 모습보다는 엄격한 모습을 갖고 계시고, 특히 자녀가 잘못한 경우에는 아주 엄하게 꾸짖으십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자녀들은 아버지가 계실 때는 학교나 친구들 간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 거의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거짓말도 많이 하는 편이랍니다.

 

반면 어머니와의 관계는 남한의 경우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어머니들은 자녀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실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엄격함으로부터 자녀들을 보호해 주시기 때문에 자녀들은 어머니께 많이 상담하고 의지하는 편이랍니다.

자녀들이 어릴 때는 자식과 부모 - 특히 아버지 - 간에 큰 갈등은 없지만, 자녀들이 성장하면서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권위와 충돌을 하는데, 이것이 심각할 경우 아버지를 피해 가출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이렇게 아버지와의 갈등은 북한에서는 흔히 볼 수 있고, 또 그래서 가출하는 청소년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북한청소년들은 아버지와의 갈등을 어떻게 화해할까요?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아버지께서 먼저 말을 건네거나, 선물을 하거나, 놀이를 통하여 화해의 손길을 보내는 것이 보통이지요. 북한에서는 아버지가 자녀에게 먼저 화해의 손길을 보내는 경우는 아주 드물답니다. 아버지의 권위가 손상된다고 생각하시기 때문이죠. 따라서 대부분 어머니가 중간해서 화해를 주선하신다고 합니다.

조회 수 :
2954
등록일 :
2016.02.23
16:14:27 (*.129.188.143)
엮인글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928&act=trackback&key=1f8
게시글 주소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9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6 25. 통일은 언제쯤 이루어질까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152
25 24. 통일은 왜 해야 하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9
24 23. 통일이 되면 나에게 어떤 이익이 돌아오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92
23 22. 우리 사회도 어려운데 왜 북한을 지원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2994
22 21. 38선과 휴전선의 차이를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121
21 20. DMZ와 JSA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002
20 19. 통일비용과 통일편익에 대해 알고 싶어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480
19 18. 남북 철도·도로연결사업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30
18 17. 남북간 스포츠교류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01
17 16. 남북간 청소년교류에 대해 알고 싶어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497
16 15. 북한의 인터넷 및 정보화 수준은 어느 정도 입니까?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41
15 14. 통일 후 예상되는 어려움에는 무엇이 있을 까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3450
14 13. 북한의 교육제도는 남한과 어떻게 다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15
13 12. 북한의 명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46
12 11. 북한주민은 어떤 주택에서 생활하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295
11 10. 북한에도 종교가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396
10 9. 북한에도 시장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23
9 8. 북한의 가족관계도 남한과 비슷한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44
8 7. 북한주민은 여행 또는 여가생활을 어떻게 즐기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07
7 6. 북한에서도 영재교육과 영어교육을 시키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3513

list_1_22.jpg

chulpan.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