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_109.jpg

통일이 되어 남한과 북한이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는 남한 사람들은 북한 사회와 북한 사람들에 대하여 잘 알고, 북한 사람들은 남한 사회와 남한 사람들에 대해서 잘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너무 오랫동안 떨어져서 살고 서로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남북한 사람들 간에는 오해도 많고, 편견도 많습니다. 여러분이 이렇게 북한학생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알아나가려고 하는 것처럼, 북한학생들도 남한 사회와 여러분의 생활에 대해서 알아나갈 때, 다 함께 평화롭게 잘 사는 사회가 앞당겨 질 것입니다. , 그러면 북한에서는 남한 사회나 남한 사람들에 대해서 어떻게 가르칠까요?

 

남한사회에 대한 지식은 주로 지리과목을 통해서 습득합니다. 남한의 지리 교과서에 북부지방의 지형, 산업, 주민 생활에 대한 내용이 있는 것처럼, 북한의 지리 교과서에는 중부와 남부지방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현재 남한의 사회가 매우 문제가 많은 것처럼 소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1998년에 출판된 중학교 3학년 지리 교과서를 보면 서울은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서울은 미제 침략자들과 남조선 괴뢰도당의 파쑈통치기구가 집결되어 있는 활동 소굴이며 식민지 통치의 아성으로 되고 있다....서울거리는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와 가스, 자동차들에서 뿜어 나오는 배기가스 그리고 여러 공장들에서 나오는 악취 풍기는 썩은 물 등이 시내 공기와 뒤섞여 숨쉬기가 가쁘고 하얀 옷가지들은 인차 까맣게 변한다고 한다’.

 

학교에서 이렇게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남한사회가 정말 그런 것처럼 믿는다고 합니다. 그래도 일부 주민들은 남한이 북한보다 훨씬 잘 살고, 자유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해요. 일부지역에서는 중국을 통한 TV시청을 통해 북한사람들도 남한사회에 대해 점차 많은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남한사람들의 건강한 모습과 입고 있는 옷만 보고도, 남한에서 굶는 사람이 많다는 말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남한과 북한이 서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는 이러한 자연스러운 정보교류가 매우 중요합니다. 서로 많이 만나다 보면 그동안 잘못 알고 있었던 여러 사실들도 바로 잡아질 것입니다.

조회 수 :
2951
등록일 :
2016.02.23
15:39:20 (*.129.188.143)
엮인글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840&act=trackback&key=838
게시글 주소 :
http://www.snkycf.or.kr/xe/index.php?document_srl=4984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06 2017년 청소년 통일교육교재 발간 배포 file [레벨:20]관리자 2017-10-25 5122
105 2016년, 청소년 통일모의 국무회의 자료집 발간 배포 file [레벨:20]관리자 2016-07-11 5566
104 77. [의식구조] 북한청소년의 남녀관은 어떤가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397
103 76. [의식구조] 북한청소년들은 이성 친구를 어떻게 사귈까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496
102 75. [의식구조] 북한청소년들 사이에서도 유행이란 것이 있을까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467
101 74. [의식구조] 북한청소년문화에 서구식 문화가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448
100 73. [의식구조] 청소년에게 인기있는 직업은 무엇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793
99 72. [의식구조] 북한 청소년들이 갖고 싶어하는 전자제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243
98 71. [의식구조] 북한에도 학교폭력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259
97 70. [의식구조] 북한 청소년들 사이에도 ‘왕따’ 가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361
96 69. [의식구조] 북한에도 문제청소년들이 있을까요. 있다면 어떤 경우에 문제청소년이라고 할까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823
95 68.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은 휴일을 어떻게 보내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499
94 67. [일상생활] 북한에도 어린이날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600
93 66.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제일 좋아하는 명절은 언제인가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321
92 65.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즐겨하는 놀이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732
91 64.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운동경기는 무엇인가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435
90 63. [일상생활] 북한에도 소년체육대회 같은 것이 있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351
89 62.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도 남한 가요를 부르나요? [레벨:20]관리자 2016-02-23 5721
88 61.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은 어떤 노래를 즐겨 부르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358
87 60. [일상생활] 북한 청소년들이 즐겨 읽는 외국 문학작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file [레벨:20]관리자 2016-02-23 5268

list_1_22.jpg

chulpan.jpg